반응형

Development/Android 24

Android Studio New UI 적용하기

안녕하세요. Jamie입니다. Android Studio Giraffe에서 현재 베타로 사용할 수 있는 New UI를 활성화 할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New UI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023년 8월 기준, Android Studio Giraffe | 2022.3.1를 설치하시게 되면 활성화가 가능합니다. File -> Settings -> Appearance & Behavior 메뉴에 들어가시면 New UI (Beta)라는 항목이 생겼는데요. 이곳에서 Enable new UI를 체크하고 Restart를 선택하면, 재실행 후에 New UI로 변경됩니다. 아래 이미지로 비교해보겠습니다.

Development/Android 2023.08.18

다른앱과 통신할때 주의점 (feat. ApplicationId vs namespace)

안녕하세요. Jamie입니다. 최근에 앱 개발중 작은 삽질(?)을 한 부분이 있어, 혹시 같은 문제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있을까하여 기록을 남깁니다. 제가 개발중인 앱이 외부 다른 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그 앱에서 제 앱을 호출하는등 기능들이 있습니다. 문제는 다른앱에서 제 앱의 호출은 Intent를 통해 하고 있었는데, 어느날부터 외부앱에서 제 앱의 Activity가 실행되지 않는 증상을 확인합니다. 특별히 실행되는 Activity를 수정하진 않았는데, 문제가 되어 로그를 확인해보니 패키지명이 다음과 같이 찍힙니다. START u0 {act=android.intent.action.MAIN cmp=com.test.launcher/.IntroActivity} from uid 10461 cmp의 패키지명과..

Development/Android 2023.08.06

Class Model does not define a no-argument constructor. If you are using ProGuard, make sure these constructors are not stripped.

안녕하세요. Jamie입니다. 오늘은 제가 Firebase RealtimeDatabase의 데이터를 가져온 과정에서 발생한 에러의 해결 방법을 공유합니다. Firebase RealtimeDatabase에는 아래와 같은 모델 데이터가 있습니다. {a="abc", b="def", c="ghi", d="jkl"} 이것을 data class로 정의하여 파이어베이스에서 얻어오려고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합니다. data class TestModel( val a: String, val b: String, val c: String, val d: String ) Coroutine + ViewModel을 사용하여 Firebase RealtimeDatabase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 suspend fun requestD..

Development/Android 2023.06.29

Kotlin코드를 Java코드로 변경하기 (Android Studio)

Android Native앱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통 Java와 Kotlin을 사용합니다. Java와 Kotlin은 같은 JVM 기반 언어이기 때문에 서로 호환이 100% 가능합니다. Java이나 Kotlin을 이용할때 어떻게 동작하는지 서로의 언어를 보고 비교하면 도움이 됩니다. (특히 기존에 Java를 이용해서 개발하신분들은 Kotlin을 새로 접할때) Android Studio에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는데요. 바로 소개하겠습니다. ※ Android Studio Dolphin | 2021.3.1 Patch1 버전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Kotlin Code를 Java로 변환하기 Kotlin으로 작성된 kt 파일을 bytecode로 변환한뒤, decompile을 통해 java 파일로 변환합니다..

Development/Android 2023.03.06

Caused by: org.gradle.api.internal.artifacts.ivyservice.DefaultLenientConfiguration$ArtifactResolveException: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app:debugRuntimeClasspath'.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추가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만났습니다. 빌드시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디바이스에서 실행을 하려면 에러메시지에 아래와 같이 발생하면서 실행되지 않습니다. Caused by: org.gradle.api.internal.artifacts.ivyservice.DefaultLenientConfiguration$ArtifactResolveException: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app:debugRuntimeClasspath'. 이곳저곳 찾아본결과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됨을 확인했습니다. 1. settings.gradle (Project Settings)로 이동 2. dependencyResolutionMana..

Development/Android 2022.11.17

Android Studio dolphin에서 파이어베이스 추가하기.

이번 포스팅은 글 작성 기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최신버전에서 파이어베이스 추가하기를 간단하게 소개하겠습니다. 글 작성 기준일 (2022년 9월 26일)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최신버전은 돌핀입니다. 파이어베이스를 연동해야할 일이 있어서 Google 개발자 문서를 따라하고 있는데, Gradle 설정이 달라서 열심히 찾아보고 공유합니다. Android앱에 Firebase를 추가하게되면 다음과 같은 웹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부분은 특별히 이전버전과 다르지 않아 문제 없이 진행되지만, 바로 아래의 부분이 다를 수 있습니다. 루트 수준(프로젝트 수준) Gradle 파일의 형식이 스튜디오 버전과 동기화가 안되어 있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새로 생성했다면, 루트 수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가..

Development/Android 2022.09.25

Android ListView ViewHolder Pattern + DataBinding 적용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Android ListView에 VIewHolder 패턴 적용 및 DataBinding을 적용하는것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최근에 기존에 개발된 자바로 된 코드를 리팩토링하는 작업을 주로 진행하고 있는데, ListView에 ViewHolder 패턴, DataBinding을 적용했는데 잘못된 부분이 있어서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혹시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계실분들을 위해서 적용한 코드를 설명하려합니다. 우선 기존 코드에서는 getView가 호출될때, 데이터가 늘어나서 스크롤이 생기면, position값에 따라 데이터가 의도하지 않은대로 동작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ViewHolder의 데이터가 position을 잃어버리는것과 같이 이상동작합니다. 문제는 mHolder로 setT..

Development/Android 2022.03.14

Android Application 클래스가 호출되지 않는 경우

안녕하세요. 오늘은 내가 생성한 Application 클래스가 호출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앱을 개발하다보면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보통 전역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최상위의 Application 클래스를 상속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Application을 상속받아서 사용합니다. 예제는 DataStore를 전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작성한 코드입니다. import android.app.Application import android.util.Log import com.teamgr.sample.db.DataStoreManager class MyApplication : Application() { private lateinit var dataStore: DataStoreManager ..

Development/Android 2022.02.03

Android MVVM with Retrofit2

디자인패턴? MVVM? 안드로이드 및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디자인 패턴은 앱의 수정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해주는 방법론이 있습니다. 앱을 개발할때, 구조에 대해서 신경을 쓰지않고 코드를 작성하게 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사항이 생깁니다. 버그가 발생했을때 수정 해야하는 부분을 명확하게 알 수 없음. 버그가 발생했을때 문제가 발생한곳 외에 엉뚱한곳에서 사이드이펙트가 발생할 수 있음. 앱 특성상 수정사항이 빈번할 경우, 여러곳을 수정해야할 수 있음. (비용이 많이 발생) MVC, MVP, MVVM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View와 Controller, Model등을 분리하여 대응하기 편하게 고안된것이 디자인 패턴이라고 합니다. 디자인패턴의 장점? 디자인패턴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합니다. 디자인패턴을..

Development/Android 2022.01.30

Gson 라이브러리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안드로이드에서 json 데이터를 다룰때 사용하는 Gson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gson 라이브러리는? JSON 포멧의 데이터를 직렬화(Serialization), 역직렬화(Deserialization)할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google에서 개발한 JSON 데이터처리 라이브러리입니다. 우리는 주로 앱과 서버가 통신을 할때 JSON 혹은 XML을 데이터로 주고 받습니다. 이때 JSON 데이터를 받아서 모델 클래스에 주입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GSON 없이 JSON 데이터를 파싱하려면 생각보다 많은 코드가 필요합니다. GSON을 이용하면 간편하게 몇 줄 안에 원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Gradle기준 GSON을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라이브..

Development/Android 2022.01.25
반응형